증권 일반
관세 역풍에 저커버그도 ‘화난다’…“테무·쉬인 광고 줄이면 10조원 타격”
- 메타에 중국은 두 번째로 큰 시장, 온라인 광고 영향↑

[이코노미스트 이승훈 기자] 미국과 중국 간 관세전쟁의 여파로 메타 플랫폼(이하 메타)이 올해 70억 달러(약 9조9673억원)의 타격을 받을 것으로 분석됐다. 테무나 쉬인 같은 중국 대형 전자상거래 업체들이 광고를 줄인다면 그 영향 적지 않을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미국 CNBC 방송은 시장 분석업체 모펫네이선슨의 보고서를 인용,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강력한 관세정책으로 중국 내 소매업체들이 페이스북이나 인스타그램 등 메타 계열사들에 대한 광고 예산을 삭감할 경우 이런 타격이 불가피하다고 22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모펫네이선슨은 그 근거로 메타의 지난해 연례 경영보고서를 들었다. 모펫네이선슨의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은 미국에 이어 두 번째로 큰 시장이다. 메타의 지난해 중국 매출은 183억5000만 달러로 총매출의 11%가 조금 넘는 수준이다. 중국 매출은 대부분 테무와 쉬인의 광고비에서 나오는 것으로 업계에서는 보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의 대중국 관세 인상 이후 테무는 미국 광고 지출을 줄였으며, 이후 애플 앱스토어 순위가 크게 하락했다는 CNBC 보도도 나온 바 있다.
올해 세계 시장에 경기침체가 나타날 경우 메타의 타격은 더 커진다. 보고서는 “미·중 무역 분쟁으로 장기적인 경기침체가 실제로 발생하면 메타의 올해 광고 매출은 230억 달러 줄고, 영업이익도 -25%까지 떨어질 수 있다”고 전망했다.
보고서는 이어 “메타는 특히 중국 광고주들의 광고비 삭감에 많이 노출되어 있다”면서 “무역 긴장이 고조돼 경기 침체가 촉발될 경우 메타는 전반적인 광고 감소와 중국 업체들의 대미국 광고비 지출 감소라는 이중고에 직면하게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모펫네이선슨은 그러나 메타에 대해 여전히 ‘매수’ 등급을 유지했다. 다만 목표 주가는 185달러 낮춰 525달러로 조정했다. 메타는 다음 주 30일 1분기 실적을 발표한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많이 본 뉴스
MAGAZINE
MAGAZINE
Klout
Klout
섹션 하이라이트
섹션 하이라이트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 모아보기
- 일간스포츠
- 이데일리
- 마켓in
- 팜이데일리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中, '딥시크 불법 정보수집·해외이전' 韓주장에 "그런적 없다"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단독] 김소은♥수원FC 정동호 1년째 연애 중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韓 경제 '바닥권' 성장률 지속…"2분기도 장담 못해"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마켓인]나스닥 상장사 그라비티, 말레이시아 사업 직접 관리한다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아이센스, 글로벌 CGM 3위 자신…삼바·셀트급 연매출 3조원 도전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