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일반
챗 GPT한테 "고마워" 하지 마세요... OpenAI CEO '울상'
- 샘 올트먼 "요청 횟수 많아질수록 전력 소모 커져"

[이코노미스트 김기론 기자] 일상생활은 물론 업무 전반에도 다양히 쓰이는 챗GPT. 우리는 이 챗GPT를 쓰며 한번쯤 '고맙다'라는 인사를 건네본 적이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 '고맙다'라는 인사가 막대한 전력 낭비로 이어진다는 지적이 나와 눈길을 끌고 있다.
최근 샘 올트먼 OpenAI CEO가 자신의 SNS에 생성현 인공지능 챗GPT에 "제발 '고맙습니다' 등의 표현을 하지 말라"는 취지의 글을 올렸다.
SNS에 따르면 한 이용자가 "사람들이 챗GPT에 '제발' '고맙습니다'라고 반복하면서 전기 비용이 얼마나 들었을지 궁금하다"고 묻자 "오픈AI에 수천만 달러의 전기요금을 발생시켰다"고 답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어 "이용자의 요청에 포함된 단어 수나 요청 횟수가 많아질수록 서버에서 처리해야 할 데이터양이 증가하고 답변 횟수도 늘어나 전력 소모가 커진다"고 설명했다.
올트먼 CEO의 설명은 이렇다. 사용자의 요청에 포함된 단어 수나 요청 횟수에 따라 서버에서 처리해야 할 데이터양이 증가하고 답변 횟수도 늘어나기 때문에 전력 소모가 커진다는 것이다. 예컨대 챗GPT에 간단한 요청을 한 뒤 "감사합니다"고 쓰면 "필요하실 때 언제든지 찾아주세요" 하는 답이 돌아온다. 짧은 인사이지만 이 같은 답변을 모두 합하면 전력 사용량이 상당한 수준에 이를 수 있다는 것이다.
워싱턴포스트 조사 결과 100단어의 이메일을 생성할 경우 0.14㎾h의 전기가 필요한 것으로 파악됐다. 이는 LED 전구 14개를 1시간 동안 켤 수 있는 양으로, 캘리포니아대학교 리버사이드 캠퍼스의 보고서에 따르면 거대언어모델(LLM)이 "천만에요(You are welcome)"라고 문장을 생성하는 데도 약 40~50㎖의 물이 소비된다.
또한 AI 챗봇을 구동하는 데 사용되는 데이터센터는 전 세계 전력 사용량 중 2%를 차지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실제로 상당수의 이용자는 AI를 공손하게 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말 글로벌 미디어 그룹 퓨처 PLC가 실시한 설문 조사에 따르면 미국 응답자의 67%, 영국 응답자의 71%가 챗봇에 예의를 갖춘 태도로 대화한다고 답했다. '도덕적으로 옳기 때문'이라는 응답이 미국 55%, 영국 59%로 가장 많았으며 'AI가 반란을 일으킬까 봐'는 미국과 영국에서 모두 12%를 기록하기도 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많이 본 뉴스
MAGAZINE
MAGAZINE
Klout
Klout
섹션 하이라이트
섹션 하이라이트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 모아보기
- 일간스포츠
- 이데일리
- 마켓in
- 팜이데일리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은행 '원화 스테이블코인 발행' 뭉쳤다…日 모델 유력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단독] 김소은♥수원FC 정동호 1년째 연애 중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中, 미국에 먼저 손내밀 생각 없다고 확실히 보여줬다"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마켓인]나스닥 상장사 그라비티, 말레이시아 사업 직접 관리한다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아이센스, 글로벌 CGM 3위 자신…삼바·셀트급 연매출 3조원 도전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