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
트럼프 재선 후 2배 껑충...국내 가상자산 시총 100조원 돌파
- 일 평균 거래대금 17조2000억원 5배 증가

[이코노미스트 송현주 기자] 지난해 국내 가상자산 시가총액이 100조원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당선에 따른 투자 심리에 지난해 11월 이후 거래가 더욱 탄력을 받고 있다는 진단이다.
한국은행이 21일 발표한 '2024년도 지급결제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말 가상자산 투자자수는 1825만 명으로 집계됐다. 예치금은 10조7000억원을 기록했다. 보유금액은 지난해 10월 58조원에서 11월에는 102조6000억원으로 2배 가까이 불어났다. 12월에도 104조1000억원으로 증가세를 이어갔다.
일평균 대금액도 뛰었다. 지난해 10월 3조4000억원 수준에서 11월에는 14조9000억원으로 4배 가까이 치솟았다. 12월에는 17조2000억원으로 더 올랐다.
한은 측은 국내 가상자산시장은 지난해 1월 미국과 같은 해 4월 홍콩 등 주요국의 가상자산 현물 ETF 승인, 유럽연합(EU)의 암호자산 규제법안(MiCA) 시행 등 규제 불확실성 해소에 크게 성장했다고 봤다.
특히 미 대선에서 가상자산에 우호적 입장을 표명한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해 11월 당선된 후 투자심리 호전 등에 힘입어 예치금, 가상자산 보유금액 및 일평균 거래대금 등이 큰 폭으로 증가했다고 풀이했다.
가상자산위원회에서는 법인의 가상자산시장 참여 확대, 스테이블코인 규제체계 수립 등 가상자산 관련 주요 현안 사항과 가상자산이용자보호법 2단계 입법 논의가 다뤄질 예정이다.
한은은 가상자산위원회 등 향후 진행될 스테이블코인 입법 논의에 적극 참가해 중앙은행 관점에서의 스테이블코인 규제 방향 의견 등 바람직한 지급결제 생태계 구축을 위한 노력을 더욱 강화할 예정이다.
한편 우리나라 가상자산 정책과 제도에 관한 주요 논의는 금융위원회가 지난해 11월 출범시킨 가상자산위원회를 중심으로 이뤄지고 있다. 가상자산위원회에서는 스테이블코인 규제 체계 수립 등 가상자산 관련 주요 현안 사항과 가상자산이용자보호법 2단계 입법 논의가 다뤄질 예정이다.
스테이블코인은 일반 가상자산과 달리 지급 수단적 특성을 갖고 있어 광범위하게 발행·유통돼 법정통화를 대체하는 지급수단으로 사용될 경우 통화정책, 금융안정, 지급결제 등 중앙은행 정책수행에 부정적 영향을 초래할 수 있어 별도 규제체계 마련이 필요한 상황이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많이 본 뉴스
MAGAZINE
MAGAZINE
Klout
Klout
섹션 하이라이트
섹션 하이라이트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 모아보기
- 일간스포츠
- 이데일리
- 마켓in
- 팜이데일리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은행 '원화 스테이블코인 발행' 뭉쳤다…日 모델 유력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단독] 김소은♥수원FC 정동호 1년째 연애 중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中, 미국에 먼저 손내밀 생각 없다고 확실히 보여줬다"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마켓인]나스닥 상장사 그라비티, 말레이시아 사업 직접 관리한다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아이센스, 글로벌 CGM 3위 자신…삼바·셀트급 연매출 3조원 도전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