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경제
美, 800달러 이하 소액소포에도 관세… K뷰티 '역직구' 타격 우려
- 아모레·올리브영, 프로모션·전용 상품으로 대응

26일 유통·화장품 업계에 따르면 현재 800달러 이하 소포에는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판매(역직구)되는 화장품이 많다.
역직구는 대부분 민간 특송 서비스로 이뤄지며 관세(15%)는 받는 사람이 부담하게 된다. 소비자가 느끼기에 사실상 가격이 인상되는 셈이다.
화장품 역직구는 최근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어 이번 관세 시행에 영향을 받을까 우려의 시선이 많다. 지난 2분기 화장품의 온라인 해외 직접 판매액은 4천46억원으로 지난해 동기보다 6.7% 늘었다.
업계는 없던 세금이 붙는 만큼 타격이 있을 수밖에 없는 만큼 대응에 나서기로 했다.
자체적으로 직구몰 '글로벌 아모레몰'을 운영하는 아모레퍼시픽은 소액면세제도 폐지에 따른 고객 이탈 방지에 나섰다. 고객 부담을 낮추기 위해 프로모션과 판촉물 등을 적극 활용하고 직구몰의 매력을 높일 수 있도록 국내에서만 운영하는 다양한 상품을 선보이는 등의 운영 전략으로 대응한다는 계획이다.
아모레퍼시픽 관계자는 "미국 고객 입장에서는 관세에 대한 부담과 통관 때 관세 납부라는 추가 절차가 생기는 것이기 때문에 영향이 없지는 않을 것으로 예상한다"며 "지속해 업데이트되는 소식을 지켜보고 있다"고 말했다.
올리브영 역시 소비자 부담을 낮추는 프로모션을 진행한다는 방침이다.
올리브영 관계자는 "소액 소포 면세 폐지 초반 소비자들의 부담을 고려해 오는 29일부터 다음 달 4일까지 글로벌 세일을 진행하며 다양한 할인 혜택을 제공하고, 이후에도 정기 세일과 차별화된 글로벌몰 프로모션을 지속 선보일 예정"이라고 말했다.
올리브영의 경우 해외 소비자들이 제품을 직접 구매할 수 있도록 글로벌몰을 운영해 왔으며, 글로벌몰 매출의 상당 부분이 북미권에서 발생한 것으로 알려졌다.
패션·식품 등 K 상품 역직구 플랫폼은 미국의 관세 정책 변화에 촉각을 세우고 있다.
통계청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온라인 해외 직접 판매 금액은 1조4721억원으로 집계됐다. 이중 미국이 2838억원으로 19%를 차지한다. 이는 중국(7164억원·49%)과 일본(3258억원·22%)에 이어 세 번째로 큰 규모다.
각 업체는 미국 소비자들이 실제 소비를 줄이는지 시장 상황을 주시하면서 대책을 강구하기로 했다.
미국과 일본 등 13개 지역에서 패션제품 글로벌 스토어 서비스를 운영 중인 무신사는 소비자의 반응을 살피면서 대응하겠다는 방침이다. 현재까지 미국의 관세 정책 변화에 따른 회사의 지침 변경은 없다.
리테일 테크 기업 컬리 역시 이번 관세 정책 변화에 따른 영향을 면밀히 모니터링하겠다고 밝혔다.
특히 지난 25일(현지시간)부터 한국에서 미국으로 제품을 배송하는 서비스인 '컬리 USA'의 사전 운영을 시작한 만큼 이번 관세 정책 변화의 직접 영향권에 들게 됐다.
해외에서 많은 소비자가 역직구를 위해 찾는 G마켓(지마켓) 역시 일단 상황을 주시한다는 입장이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티카로스 ‘간암 표적 CAR-T’, 국립암센터 면역세포유전자치료제 사업 선정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서장훈, 밤늦게 장도연에게 전화 사연은…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투자 모범생' 정의선·조원태의 통큰 결단…77조원 더 써 한·미동맹 지원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현대건설·SK이노·코웨이 등 AA급 우량채 줄줄이 출격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알짜배기 비상장 전통 제약사들, 너도나도 IPO 나서는 까닭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