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
위고비, 이젠 숙취도 막아준다?…"알코올 흡수 늦추는 효과"
- '알코올 중독' 예방의 새 치료법 기대감

15일(현지시간) 미국 버지니아 공과대학교 프랄린 생명의학연구소 연구팀은 이 같은 결과를 국제 학술지 사이언티픽 리포트(Scientific Reports)에 게재했다. 이번 실험은 체질량지수(BMI) 30 이상인 비만 성인 20명을 대상으로 한 소규모 예비 연구로 알려졌다.
연구진은 참가자 전원을 공복 상태에서 동일한 간식을 섭취하게 한 뒤 실험을 진행했다. 피험자 절반은 GLP-1 약물을 투여받고 있었고 나머지 절반은 어떤 약물도 복용하지 않은 상태였다.
이들에게 같은 도수의 칵테일을 제공해 10분 안에 마시게 한 후 1시간 동안 혈중 알코올 농도·맥박·혈압·호흡·혈당 등을 지속적으로 측정했다. 또 “현재 얼마나 취한 것 같은가”를 주기적으로 물어보며 측정했다.
그 결과 GLP-1 복용군의 호흡 내 알코올 농도 상승 속도가 현저히 느렸고 대부분 “예전보다 덜 취한 느낌”이라고 대답했다.
연구팀은 “GLP-1 약물이 위 배출 속도를 늦추는 성질 때문에 알코올도 혈류로 흡수되는 과정이 더디게 된다”고 설명했다. 이로 인해 알코올이 뇌에 도달하는 속도가 완화되면서 뇌의 '보상 회로'를 자극하는 효과 역시 줄어든다. 즉, 같은 양을 마셔도 이전보다 “충분히 마셨다”는 느낌을 빨리 받게 되어 음주량이 자연스럽게 감소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 약물은 술의 흡수 속도를 완화시켜 취기를 덜 느끼게 하고, 나아가 음주 욕구까지 줄일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가 발전하면 알코올 중독 예방에 활용될 새로운 치료법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기대가 나오고 있는 실정이다.
연구팀은 “술을 천천히 음미하는 것과 단숨에 마시는 것은 체내 흡수 속도에서 큰 차이를 보인다”며 “GLP-1 약물은 알코올이 뇌에 미치는 영향을 완화시켜 결과적으로 사람들이 과음하지 않도록 도울 수 있다”고 말하기도 했다.
미국 공중보건국에 따르면 성인 인구의 절반 이상이 음주를 하며 약 10명 중 1명은 알코올 사용 장애(Alcohol Use Disorder)를 겪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연구는 온라인 커뮤니티 '레딧(Reddit)'에서 “GLP-1 치료제를 맞은 뒤 술이 예전만큼 당기지 않는다”는 게시글들이 잇따라 올라오면서 시작된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연구팀은 “이번 실험은 예비 연구 단계로 표본 수가 제한적”이라며 “결과를 확증하기 위한 대규모 임상시험을 추가로 진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野 '청개구리 정부' 비판에 與 "김건희-햅번 촬영부터 사과해야"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일간스포츠
드라마
일간스포츠
‘역전, 역전!‘ 한화, 대전의 가을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드라마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與 김병주 "캄보디아에 감금됐던 韓 청년 3명 구출"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연금 고갈 우려'…전통자산 한계에 VC에 눈 돌리는 유럽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국산 의료기기의 반격, 시장 판도 뒤흔드는 업체들 공통점은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