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반기 대비 신입 채용 비중 소폭 감소, 경력은 저연차 주니어 연차 수요 많아

[이코노미스트 원태영 기자]올 하반기 기업 10곳 중 6곳은 정규직원 채용에 나설 예정인 것으로 나타났다.
커리어 플랫폼 사람인(대표 황현순)이 기업 371개사를 대상으로 ‘하반기 채용 계획’을 조사한 결과, 58.5%가 ‘채용 계획이 있다’고 밝혔다. ‘채용 계획이 없다’는 답변은 27.5%였고, 14%는 ‘미정’이라고 답했다.
기업 규모별로 살펴보면, 100인 이상 300인 미만(73%), 100인 미만(57%), 300인 이상(55.2%) 순으로 정규직 채용을 확정한 기업이 많았다.
하반기 정규직을 뽑는 기업 중 58.5%는 신입과 경력을 모두 채용할 예정이었다. 32.3%는 경력만 채용하며, 9.2%는 신입만 채용한다고 응답했다. 즉, 신입을 뽑는 비중은 67.7%이고, 경력은 90.8%를 뽑는 셈이다. 사람인이 올해 상반기 기업 511개사를 대상으로 채용 계획을 조사한 결과 신입을 뽑는 기업은 83.6%, 경력을 뽑는 기업은 91.9%였던 것에 비하면 신입 채용 비중이 16%p 감소했다.
올 하반기에 정규직 사원을 채용하려는 이유는 ‘현재 인력이 부족해서’(58.1%, 복수응답)가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인력들의 퇴사가 예정돼 있어서’(28.1%), ‘우수 인력을 확보하기 위해서’(24%), ‘사업을 확장해서’(18.9%) 등의 순이었다.
하반기 정규직 신입사원 채용 방식은 ‘수시채용만 활용’이 59.2%였고, ‘공개채용과 수시채용 모두 활용’하는 기업은 34%였다. ‘공개채용만 활용’한다는 답변은 6.8%에 그쳤다.
하반기 신입사원들의 초봉은 평균 3298만원으로 집계됐다. 구간별로는 '3,000만원 이상~3,500만원 미만'(31.3%), '2,500만원 이상~3,000만원 미만'(29.9%), '3,500만원 이상~4,000만원 미만'(19%), '2,500만원 이하'(7.5%) 등의 순이었다.
그렇다면, 경력사원은 어떻게 뽑을 예정일까. 대부분인 77.2%(복수응답)가 ‘수시/상시 채용’을 활용한다고 답했다. 이밖에 ‘경력 공채’(25.9%), ‘채용 플랫폼 인재 검색’(12.2%), ‘내부 추천’(10.7%), ‘헤드헌터 활용’(7.1%) 등의 답변이 있었다.
채용 예정인 경력사원 연차는 ‘3년’(30.5%), ‘5년’(23.4%), ‘2년’(16.2%), ‘1년’(13.7%), ‘10년’(6.6%), ‘4년’(3.6%), ‘7년’(2.5%) 등의 순이었다. 연차별로 묶어보면 3년 이하 주니어가 과반인 60.4%였고, 5년 이하가 87.4%로 대부분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나 올 하반기에도 저연차 경력직에 대한 수요는 여전할 것으로 보인다.
사람인 관계자는 “하반기에는 부족한 인력을 충원하는 수요가 주를 이루는 가운데, 일부 우수 인재에 대한 선제적 투자나 사업 확장에 나서는 기업도 관측된다”며, “대내외 불확실성 해소에 더해 직무와 산업별 경기 변동에 따른 기업들의 채용 수요 변화를 예의주시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한편, 하반기에 정규직원을 채용하지 않는 기업들은 그 이유로 ‘현재 인력으로도 충분해서’(42.9%, 복수응답) ‘업황이 좋지 않아서’(33.1%), ‘인건비가 부담돼서’(30.5%), ‘대내외 불확실성이 너무 커서’(27.3%) 등을 들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김건희에 5400만원 바쉐론콘스탄틴 전달" 특검 진술 확보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팜이데일리
이규한, '♥솔비'에 "결혼 생각 있냐" 돌직구 고백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이변 없었다…조국·정경심·윤미향 '광복절 특사'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빌려줘도, 증자해줘도 문제"…여천NCC 지원방식 딜레마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일라이 릴리 vs 노보 노디스크, 먹는 비만약 전초전서 노보 勝?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