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일반
사하라 AI 데이터 서비스 플랫폼(DSP) 출시… 실질 리워드 지급

차세대 탈중앙 AI 데이터 플랫폼 사하라 AI(Sahara AI)가 누구나 참여하고 보상을 받을 수 있는 ‘데이터 서비스 플랫폼(Data Services Platform, 이하 DSP)’의 퍼블릭 론칭을 공식 발표했다. 이번 론칭으로 전 세계 누구나 손쉽게 AI 개발에 기여하고 실제 암호화폐 리워드를 받을 수 있는 길이 열렸다.
DSP는 기존 소수 전문가 중심의 AI 데이터 구축 방식에서 벗어나, 누구나 참여할 수 있는 크라우드소싱 모델을 기반으로 한다. 이용자는 학력, 경력에 상관없이 단 몇 번의 클릭만으로 다양한 데이터 작업에 참여할 수 있다. 기여에 따라 $SAHARA 토큰을 비롯해 USDT, USD1, 파트너 토큰 등 실질적인 암호화폐 보상을 받을 수 있다. 또한 DSP 론칭과 함께 첫날부터 45만 달러 이상의 리워드 풀을 오픈한다. 출시 초기부터 다양한 AI 데이터 작업이 등록되어 누구나 즉시 보상을 받을 수 있는 구조다.
DSP에서는 기본 데이터 주석 작업뿐만 아니라, AI 모델의 결과값 검증, 신규 AI 에이전트 테스트, 커뮤니티 데이터셋 공동 제작 등 다양한 포맷의 기여가 가능하다. 특히 이미지, 오디오, 비디오 등 멀티모달 데이터를 포함해 더 넓은 형태의 AI 학습 데이터가 필요해지는 시대 흐름에 맞춰 다양한 작업이 지속적으로 추가될 예정이다.
또한 DSP는 단일 리워드에 그치지 않고, 파트너 프로젝트와 협업하는 듀얼 리워드 구조를 도입했다. 대표적으로 Camp Network와의 협업을 통해 생성 이미지 데이터 주석 시 $SAHARA와 Camp 토큰을 동시에 받을 수 있고, Solo AI와의 협업으로는 음악 및 오디오 라벨링 시 Solo 보상을 추가로 획득할 수 있다. 이외에도 아이오넷, xFractal, MIA 등 다양한 프로젝트가 초기 파트너로 참여하고 있다.
DSP의 가장 큰 특징 중 하나는 시즌제 없이 상시 참여가 가능하다는 점이다. 사하라 AI는 기존 테스트넷 시즌제를 폐지하고, 언제든 자유롭게 참여하고 보상을 받을 수 있는 구조로 전환했다. 또한 참여자의 실력과 정확도에 따라 레벨이 올라가고, 더 높은 보상을 제공하는 고급 작업이 단계별로 열리게 된다.
AI 생태계의 투명성 확보를 위해 모든 데이터 기여 및 보상 내역은 온체인으로 기록된다. 일부 고급 작업은 사하라 토큰을 소량 잠금(lock-up)해야 참여할 수 있는 구조도 도입됐다. 이는 스팸 및 시빌 공격 방지와 기여 퀄리티 보장을 위한 장치로, 참여자는 작업 완료 후 토큰을 다시 돌려받을 수 있다.
사하라 AI의 공동 창립자인 션 렌(Sean Ren)은 “커뮤니티 참여자들은 단기 보상 외에도 공동 데이터셋 작업을 통해 해당 데이터셋의 지분을 확보하고, 장기적인 수익 배분에도 참여할 수 있다”며 “커뮤니티가 직접 데이터를 생산하고 그 결과물에 대한 지분을 보유함으로써 지속 가능한 AI 경제를 구축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이번 DSP 론칭은 기존 AI 산업의 폐쇄성과 중앙집중 문제를 해결하고, 보다 많은 사람들이 실질적인 기여와 보상을 받을 수 있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AI의 미래는 커뮤니티가 함께 만드는 시대가 될 것이고, DSP가 그 출발점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DSP 참여 및 자세한 정보는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속보]트럼프 “관세 하한선 15%…최대 50%까지 부과”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빽가 신곡, KBS서 부적격 판정…"'이것' 때문"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속보]트럼프 “관세 하한선 15%…최대 50%까지 부과”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단독]김창수 F&F 회장, 테일러메이드 이해상충 논란…센트로이드, 소송 검토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에이프릴바이오, 하반기 SAFA 경쟁력 검증…추가 기술수출 이어지나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