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
건설업 일자리 200만명 붕괴…외환위기 이후 최악 수준
- 상반기 취업자 14만6천명 급감

21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건설업 취업자 수는 193만9000명으로 1년 전보다 14만6000명 감소했다.
외환위기 여파가 이어지던 1999년 상반기(-27만4000명) 이후 26년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줄어든 것이다.
코로나19 충격이 시작된 2020년 상반기(-3만5000명), 유럽 재정위기로 경기가 위축된 2013년 상반기(-3만7000명)뿐만 아니라 글로벌 금융위기 때인 2009년 하반기(-10만6000명)보다도 감소 폭이 크다.
건설업 취업자는 작년 하반기 10만2000명 줄어든 뒤 뒤 올해 감소 폭을 더 키웠다.
취업자 수는 2020년 상반기(196만6000명) 이후 5년 만에 다시 200만명 밑으로 떨어졌다. 2016년 하반기(192만6000명) 이후 8년 반만에 가장 작은 규모다.
건설업 일자리는 상대적으로 고용 안정성이 양호하고 임금도 높아 양질의 일자리로 여겨진다.
올해 건설업 고용 부진은 20대(-4만3000명)와 50대(-6만8000명)에 집중된 것으로 분석됐다.
20대는 신규 채용 감소, 50대는 구조조정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았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고용은 통상 경기의 후행지표로 해석된다. 건설업황 부진이 길어지면서 고용 위기가 온 것으로 풀이된다.
건설업 생산은 고금리에 따른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 원자잿값 상승 등 겹악재에 작년부터 계속 위축되고 있다.
건설업 생산 지표인 건설기성은 작년 2분기(-3.1%)부터 줄기 시작해 4개 분기 연속했다.
감소 폭도 작년 3분기 -9.1%, 4분기 -9.7%를 기록한 데 이어 올해 1분기는 -21.2%로 크게 확대됐다.
건설수주 지표가 2023년 말부터 개선된 만큼 올해 하반기 건설업 경기가 나아질 것이라는 기대감도 있지만 미국 관세정책 등 불확실성 탓에 장담이 어려운 상황이다.
건설수주는 통상 1∼2년의 시차를 두고 건설업 경기에 영향을 주는 경향이 있다.
건설수주 개선에도 건설업 경기 부진이 계속되면 후행지표인 고용은 그만큼 더 어려워질 수 있다.
정부 관계자는 "건설수주 상황을 토대로 보면 올해 하반기 건설업 경기가 나아질 수도 있겠지만 건설수주와 건설업 경기를 기계적으로 연결 짓기 어려운 측면도 있다"고 말했다.
건설업은 주요 산업으로 전후방 산업에 미치는 영향도 크다.
단기 경기 부양 수단으로 흔히 사회간접자본(SOC) 투자가 꼽히는 이유다.
거꾸로 보면 건설업 경기 부진이 거시 경제를 직격할 수 있다는 뜻이기도 하다.
실제로 올해 1분기 건설투자는 GDP를 무려 0.4%p나 끌어내리면서 한국 경제의 발목을 잡은 것으로 분석됐다.
김광석 한국경제산업연구원 경제연구실장은 "정부가 소비·수출 진작 노력을 한다고 해도 건설이 좋지 않으면 경기 회복을 예단하기 어렵다"라며 "특히 건설업은 고용·생산유발계수가 다른 산업보다 높은 편이기 때문에 건설업 위축은 경기 활성화에 큰 방해가 된다"고 지적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끔직했던 그날…6.6 지진으로 95명 숨졌다[그해 오늘]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경찰, 방시혁 압수수색 영장 신청..왜?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이 대통령, 김영훈·김성환·정은경 장관 임명안 재가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마켓인]KBI국인산업, 라온저축은행 인수 순항…PF는 여전히 ‘뇌관’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단독]인투셀 넥사테칸 특허, 피노바이오와도 유사...신규성·진보성 無 판단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