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이슈
"헬스장이 내 집"…중국 청년들의 기묘한 주거 전략
- 요가매트 깔고 취침, 샤워만 하는 '유목형 생활' 확산

9일 중국 매체 펑파이신문은 최근 베이징 등 대도시를 중심으로 20~30대 젊은이들이 체인형 헬스장을 이용하며 숙박비를 아끼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이들은 운동 목적보다는 요가 매트를 바닥에 깔고 잠을 자거나, 샤워 시설만 사용하는 방식으로 헬스장을 이용하고 있다. 한 직장인은 "운동하러 왔다가 잠든 적이 있다"며 "지금은 운동보다 잠이 더 필요하다"고 말했다.
특히 헬스장 월 정액권의 저렴한 가격이 주거 대안으로 작용하고 있다. 약 200위안(한화 약 3만7000원) 정도의 월 이용료를 내면 지역 제한 없이 모든 지점을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어, 고정된 주거지 없이 지점을 이동하며 휴식을 취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점심시간에는 직장 인근 지점에서 짧은 휴식을 취하고, 퇴근 후 다른 지점으로 이동해 숙면을 취하는 '유목형 생활'을 하는 청년들도 있다고 매체는 보도했다.
헬스장 측은 난처한 입장이다. 일부 업체는 "운동 중 짧은 휴식은 허용되지만, 숙박을 목적으로 한 장기 체류는 금지된다"며 '취침 금지' 방침을 내세웠다. 하지만 비용 절감을 위해 헬스장을 임시 거처로 삼는 청년들이 늘면서 관련 논란은 당분간 이어질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이런 현상의 배경에는 높은 주거 비용이 있다. 베이징 도심의 원베드룸 월세는 6000~1만 5000위안(한화 약 110만원~270만원)에 달하며, 외곽 지역도 4000~7000위안(한화 약 74만원~130만원) 수준이다. 청년층이 감당하기에는 큰 부담이다.
이 때문에 전문가들은 이를 청년들의 단순한 일탈이 아니라 "높은 월세와 물가, 실업률 증가 등 경제적 압박에 대응하는 생존전략"이라고 분석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반도체 차익실현·美금리인하 기대…외국인, 넉 달 만에 ‘셀 코리아’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전현무 결혼시키기 미션…이세희와 소개팅?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구금 사태 '한국 탓' 돌린 美상무 “제대로 된 비자 받아야"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혁신 기대했는데…퇴직연금 로보어드바이저 '개점휴업'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보령과 맞손 큐라클 上, 수출호재 넥스트바이오 상승[바이오맥짚기]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