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일반
"LG, 찬 바람으로 글로벌 B2B 잡는다"... HVAC 사업 확대 집중
- 19일 ‘LG HVAC 리더스 서밋 2025’ 개최
인도, 베트남, 인도네시아 등 아시아 7개국 초청

LG전자는 19일 인도, 베트남, 필리핀, 인도네시아 등 아시아 7개국의 HVAC 컨설턴트를 국내로 초청해 ‘LG HVAC 리더스 서밋 2025(LG HVAC Leaders’ Summit 2025)’를 개최했다.
나흘간 열리는 이번 서밋은 HVAC 시장의 최신 트렌드와 업계 현황을 공유하고 LG전자의 시스템 에어컨, 칠러, 데이터센터 열관리 솔루션 등 다양한 기술을 소개하는 세미나 형식으로 진행된다.
특히 올해는 글로벌 사우스 HVAC 시장을 공략하기 위한 전략의 일환으로 초청 대상을 인도뿐 아니라 중동·아프리카와 중남미 지역까지 확대했다. 글로벌 사우스는 높은 경제 성장률과 풍부한 인적 자원을 바탕으로 제조업 및 도시 개발 수요가 가파르게 증가하는 지역으로 꼽힌다. 이에 따라 공장, 오피스 등에서의 HVAC 수요도 급증하면서 B2B 사업 기회가 늘어나고 있다.
세미나에서는 대형 프로젝트 수행 역량을 보여주는 대표 사례도 공유했다. LG전자는 싱가포르 투아스(Tuas) 지역의 초대형 물류센터에 고효율 상업용 시스템 에어컨 ‘멀티브이 아이(Multi V i)’를 공급한 사례를 공개했다. 이 사례는 싱가포르 건축청이 제정한 친환경 건물 인증 프로그램인 ‘그린마크’의 최고 등급을 획득하며 주목을 받은 바 있다.
이와 함께 AI 데이터센터 열관리 솔루션도 관심을 모았다. GPU, CPU 등 고발열 부품에 냉각판(Cold Plate)을 부착하고 냉각수를 보내 열을 식히는 CDU(Coolant Distribution Unit, 냉각수 분배 장치)와 초대형 냉방기인 칠러를 활용한 공기냉각 솔루션 등을 선보였다.
LG전자는 서밋 개최 지역을 점차 넓혀나갈 예정이다. 지난 14일에는 케냐에서 아프리카 지역 컨설턴트를 대상으로 서밋을 열었으며, 오는 6월에는 중동, 7월에는 중남미 컨설턴트를 각각 한국과 파나마로 초청해 교류를 이어갈 계획이다.
한편 LG전자는 지난해 말 HVAC 사업 성장을 가속화하기 위해 ES사업본부를 신설했다.
이재성 LG전자 ES사업본부장 이재성 부사장은 “전 세계 주요 시장의 HVAC 컨설턴트와 긴밀히 교류하며 차별화된 기술력과 실행 역량을 통해 사업 기회를 창출하겠다”며 “고객 맞춤형 솔루션을 기반으로 글로벌 B2B 공조 시장에서 주도권을 한층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9세 딸 앞에서 성관계한 친모 실형…계부는 ‘무죄’ [그해 오늘]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마켓인
이동국 셋째딸 성숙한 근황…"송도서 핫한"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도이치 주가조작 재수사 부담? 이창수·조상원 동반 사퇴(종합)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마켓인]‘백기사’로 얽힌 재계…경영권 분쟁 때 빛나는 동맹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리틀' 유한양행 이뮨온시아 상장 첫날 108%↑[바이오맥짚기]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