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일반
“연차 아닌 업무별로 월급 줘야죠”...Z세대 취준생 열광한 ‘이 제도’는
- 10명 중 8명 "직무급제 찬성"
"‘전문성, 기술 수준’ 기준으로 판단해야"

17일 채용 플랫폼 캐치가 Z세대 구직자 2033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83%가 ‘직무급제’에 찬성한다고 답한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의 난이도, 중요도, 전문성에 따라 급여를 차등 지급하는 이 제도는 일부 대기업과 공공기관을 중심으로 점차 확대되고 있다.
찬성 이유로는 ‘업무 가치에 맞는 합리적 보상 체계라서’가 75%로 가장 많았다. 이어 ▲‘어려운 직무에 도전할 동기가 생겨서’(12%) ▲‘조직 경쟁력에 도움이 될 것 같아서’(8%) ▲‘연공서열보다 공정한 방식이라서’(4%) 등의 답변이 뒤를 이었다.
반면, 직무급제에 반대하는 이들은 ‘직무 가치 판단 기준이 모호하다’(52%)는 점을 가장 큰 이유로 들었다. 또한 ▲‘직무 간 위계나 차별 구조가 우려된다’(22%) ▲‘인기 직무 쏠림 현상이 심화될 수 있다’(13%) ▲‘저평가된 직무 종사자의 의욕 저하가 우려된다’(12%)는 응답도 있었다.
Z세대는 ‘직무의 전문성과 기술 수준’(62%)을 가장 중요한 기준으로 꼽았다. 이외에도 ▲‘조직 기여도 및 사업 성과와의 연계성’(33%) ▲‘업무의 책임 강도’(26%) ▲‘근무 환경 및 위험도’(19%) ▲‘대체 가능성’(9%) 등이 뒤를 이었다.
한편 “입사 직무 외에 더 높은 연봉이 보장되는 직무로 전환할 수 있다면 이동하겠느냐”는 질문엔 83%가 ‘이동하겠다’고 답했다. Z세대가 연봉 중심의 유연한 커리어 이동에도 적극적임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캐치 김정현 본부장은 “Z세대는 단순히 몇 년 일했느냐보다, 내가 어떤 가치를 만들어냈느냐에 집중한다”며 “직무급제를 안정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투명하고 명확한 직무 가치 기준과 체계적인 설계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깨끗한 이미지, X먹으라고”…손흥민 협박범, 방송사에 한 말은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송골매, 기사단 거센 추격 꺾고 첫 챔프전 우승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광주 찾은 이재명 "80년 5월 광주가 오늘 대한민국 구했다"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마켓인]SKIET 이어 SK지오센 佛 계열사도…EOD 위기서 기사회생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단독]삼천당제약, S-PASS 특허 출원 철회...후속 특허 기술도 없을 가능성↑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